top of page
IT_td01490000435-[변환됨].jpg

연혁

UPF는 끊임없이 전진적 발전을 촉진화 합니다

무슨일이 있어도

전쟁과 분쟁을 반드시 끝냅니다.

우리는
위대한 평화를
만들 것이다

세계평화연합은 2005년 9월 12일 미국 뉴욕 링컨센터에서 지구촌 분쟁을 종식하고 평화세계 실현이라는 목표를 두고 창설되어 전 세계 194개국에 지부를 두어 공생(共生) • 공영(共榮) • 공의(共義)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초종교 초국가적 굿거버넌스(Good Governance) 운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UPF, 위대한 평화의 시작 -

image.png

1990.2.2
제2차 세계평화정상회의

시기는 냉전의 막바지로, 동·서 진영 간 이념 대립이 여전히 존재했지만 동시에 화해와 전환의 기운이 보이던 역사적 전환기.

image.png

1991.8.28
세계평화연합(Federation for World Peace, FWP) 창설


냉전이 사실상 종식되고, 새로운 세계질서가 모색되던 시점에서 “초국가적·초종교적 협력기구” 의 필요성이 대두됨.

image.png

1992.8.23
제5차 세계평화정상회의


제5차 회의는 단순히 정상들 간의 담론에 그치지 않고, 세계여성연합 창설(1992.8.24) 과 연계되어 “지도자 중심의 평화운동”에서 “대중 참여적 평화운동” 으로 확장되는 분기점이 됨

image.png

1994.3.26~29
제2차 세계평화회의(FWP)


제2차 세계평화회의는 세계평화연합이 본격적으로 “국제 평화 리더십 네트워크” 로 기능하기 시작한 중요한 분기점

image.png

1999.2.6
세계평화초종교초국가연합 창설

(Interreligious and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World Peace, IIFWP)


 

1990년대 내내 이어진 세계평화정상회의(WSPC) 와 세계평화회의(FWP) 의 성과를 제도적으로 승화. 기존의 “세계평화연합(FWP, 1991)”이 주로 국가 지도자·정치인 중심이었다면, IIFWP는 종교 지도자와 국가 지도자가 함께 주도하는 평화 기구로 창설

image.png

2001.5.25
세계평화초종교초국가연합 국제심포지엄


 

IIFWP는 본격적으로 국제무대에서 “아벨 유엔(Abel UN)” 비전을 확산시키는 단계로 나아 갔으며、 2001년 심포지엄은 특히 UN 개혁 담론과 연결되며, IIFWP가 국제 NGO 및 UN 관련 인사들과 공식적인 대화의 장을 연 행사였음.

image.png

2003.2.5
세계평화정상회의


 

2000년대 초는 9·11 테러(2001) 이후 국제질서가 크게 흔들리던 시기였습니다. 종교적 갈등, 테러리즘, 중동 위기, 한반도 북핵 문제 등으로 “평화와 안전” 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 되었고 세계평화초종교초국가연합은 이러한 전환기에 정상회의 프로그램을 재가동하며, 전 세계 지도자들을 모아 초종교·초국가적 평화비전을 논의.

image.png

2003.2.27~3.2
세계평화초종교초국가연합 중동평화 국제세미나

2003년은 이라크 전쟁 발발 직전으로, 중동이 국제적 긴장의 중심에 있던 시기였습니다. 종교와 민족 갈등,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 테러리즘 위협 등으로 중동은 “세계 평화의 핵심 시험대”로 인식되었으며、IIFWP는 창설 당시부터 강조해온 “초종교 협력”을 중동 문제 해결의 열쇠로 제시하며, 현지 지도자들과 국제 지도자들을 연결하는 장을 마련.

image.png

2003.8.12
세계평화초종교초국가연합(IIFWP) 세계평화지도자정상회의

IIFWP는 “아벨 유엔(Abel UN)” 비전과 중동평화구상(MEPI) 을 국제적으로 제시했습니다. 같은 해 8월의 세계평화지도자정상회의는, 이러한 흐름을 이어받아 전 세계 정치·종교 지도자들을 한자리에 모아 국제적 공조 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자리였습니다.

image.png

2003.10.3
초종교초국가평화의회(IIPC) 창설대회

1999년 창설된 세계평화초종교초국가연합(IIFWP) 은 “아벨 유엔” 비전을 국제사회에 확산시켜 왔습니다. 그러나 UN과 같은 제도권 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실제로 종교·정치 지도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대의기구(Council)’ 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이에 따라 IIFWP는 보다 제도적이고 상설적인 조직으로 IIPC(초종교초국가평화의회) 를 창설하게 됩니다.

image.png

2003.12.22
이스라엘 평화대행진(Heart to Heart)


 

같은 해 2월, IIFWP는 중동평화 국제세미나(2.27~3.2) 를 개최하며 “정치적 해법만으로는 중동 평화를 달성할 수 없으며, 종교 간 화해와 민간 차원의 신뢰 구축이 필수”임을 천명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IIFWP와 평화대사들이 주도해 현지에서 종교·민족을 초월한 평화 실천행사로 열린 것이 바로 Heart to Heart Peace March 입니다.

image.png

2005.9.12

천주평화연합(UPF) 창설

1981년 국제평화재단에서 출발해, 1987년부터 이어진 세계평화정상회의, 1991년 세계평화연합(FWP), 1999년 세계평화초종교초국가연합(IIFWP), 2003년 초종교초국가평화의회(IIPC) 창설까지, 25년간 쌓아온 세계 평화운동의 총결실이며 특히 UN 한계 보완과 아벨 유엔 비전을 제도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종교·정치·시민사회가 하나로 참여하는 글로벌 평화기구 필요성이 절정에 달함 이를 통해 IIFWP와 IIPC의 성과를 통합·계승하여 UPF가 창설됨.

20051016-1225 천주평화연합 창립 기념 세계 순회.png

2005.10.16~12.23_
천주평화연합(UPF) 창설기념 세계 순회대회
전 세계 180여 개국 순회


창설 대회에 이어, 전 세계 각국에서 국가·종교·정치 지도자와 시민들에게 UPF 비전을 직접 선포하는 세계적 출정 대회

image.png

2007.7.24
유엔평화군성전추모연합 대회


 

2004.12.13 유엔평화군성전추모연합 창설 → 2005년 UPF 창설 이후, 평화군·평화경찰 구상이 국제적으로 제시되면서, 참전국 지도자 및 평화대사와 함께 그 정신을 확산할 필요성이 대두. 2007년은 6·25 한국전쟁 발발 57주년을 맞이한 해로, 참전국과 한국 국민이 함께 추모와 미래 평화의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가 필요했음.

image.png

2007.7.25
평화
대사 임원단 전국대회


 

2007년은 특히 북한 1차 핵실험(2006.10.9) 이후 한반도 정세가 긴박해진 상황에서, 평화대사들의 역할과 조직력 강화가 절실히 요청되던 시점이었습니다.이에 임원단 중심의 전국대회를 통해 지도부의 결속과 활동 전략을 확립하고자 한 것입니다.

image.png

2007.9.12
천주평화연합 창설 2주년 기념식

아벨유엔 창설대회 2007.9.23.png

2007.9.23

아벨유엔 창설대회

2005년 9월 12일 천주평화연합(UPF) 창설 → 2005년 세계 순회대회 → 2006년 세계대회 및 평화대사 운동 확산 → 2007년 9월 12일 창설 2주년 기념식에 이어, 문선명·한학자총재는 본격적으로 “아벨 유엔(Abel UN)” 창설을 선포 이는 1999년 세계평화초종교초국가연합(IIFWP), 2003년 초종교초국가평화의회(IIPC) 등을 거쳐 발전해 온 비전이 제도적 선언으로 구체화된 순간이었습니다.

평화대사 위촉 세미나 125차 성료.jpg

평화대사 위촉 세미나 125차 성료

한국사회 위기극복을 위한 평화대사협의회 시국호소문 발표 2009_edit

​한국사회 위기극복을 위한 평화대사협의회 시국호소문 발표 

 

한국 사회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정치적 갈등, 남북 긴장, 경제·사회 불안 요인이 중첩되며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었습니다. UPF는 2005년 창설 이후, 평화대사 제도를 통해 시민사회·정치·종교·학술계 지도자 네트워크를 형성하였고, 이들이 모여 사회적 문제에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이 바로 시국호소문 발표였습니다.

천주평화연합 및 ACLC대회 12.16.png

2009.12.16
천주평화연합 및 미국성지자연합회(ACLC)대회

2009년은 세계적으로 경제 위기(2008 금융위기 여파) 와 한반도 긴장(북한 2차 핵실험, 2009.5) 이 겹치던 시기로, 신앙과 사회 지도자들의 연합적 해법이 요청되던 시점

2011 평화회담 20주년 기념 대북 밀가루 600T 전달.jpg

평화회담 20주년 기념 대북 밀가루 600t 전달

 

1991년 12월 13일, 남북은 역사적인 「남북기본합의서」 에 합의하였고, 이어 12월 31일에는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이 채택되었습니다. 이는 사실상 남북 평화회담(1991) 의 결실로, 이후 남북 관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20주년이 되는 2011년 무렵, 남북관계는 경색과 긴장을 반복하고 있었으나, 인도적 지원의 필요성은 절실했습니다. 이에 UPF와 평화대사들이 중심이 되어, 기념행사와 함께 대북 밀가루 600톤을 전달하는 활동이 추진되었습니다.

편화비전21 2011.png

2011.11.22
아벨평화유엔 재계지도자 초청 평화비전 세미나


 

문선명·한학자총재는 2010년대 들어서는 정치·종교뿐 아니라 재계의 역할을 강조하셨습니다. 세계 금융위기 이후 사회적 불평등과 위기 대응이 화두가 되면서, 경제계 지도자들을 평화운동의 파트너로 네트워크 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 바로 이 세미나였습니다.

제1차 동북아평화를 위한 평화대사연.jpg

2013.07.01~04
제1차 동북아평화를 위한 평화대사연수


 

천주평화연합(UPF)은 새로운 체제를 정비하며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 문제를 핵심 의제로 삼았습니다. 북한의 3차 핵실험(2013.2.12), 중국·일본과의 영토 갈등, 동북아 전역의 군사적 긴장 고조 등으로 인해 동북아 평화 담론이 절실히 요청되던 시점이었습니다. 이에 한국과 일본, 중국을 포함한 동북아 평화대사 네트워크를 본격화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 제1차 연수입니다.

평화대사 중앙송년세미나 2013.jpg

2013.12.18
평화대사 중앙송년세미나


 

2013년은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평화대사들의 활동을 정리하고 향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중앙 차원의 송년 세미나가 준비되었습니다. 이 행사는 단순한 친목 성격을 넘어, 평화대사 운동의 결속·비전 공유·내부 단합을 위한 자리였습니다.

2015.02.평화대사 통일준비국민위원 중국 특별 세미나.jpg

평화대사 통일준비국민위원 중국 특별 세미나 1~11차

20150302 한반도 통이로가 동북아 평화실현 국제 심포지엄.jpg

2015.03.02.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평화실현 국제 심포지엄


 

2015년은 광복 70주년, 분단 70주년이 되는 해로, 한반도 평화와 통일 문제를 국제적으로 재조명하는 계기가 필요했습니다.천주평화연합(UPF)과 평화대사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한반도 문제를 동북아 전체의 평화 비전과 연결하기 위해 국제 심포지엄을 기획했습니다.

한반도 통일과 세계평화 증진 국제 심포지엄 2015.08.27 (2).jpg

2015.08.27
한반도 통일과 세계평화 증진 국제 심포지엄


 

천주평화연합(UPF)은 이미 2015년 3월 2일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평화실현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 바 있으며, 이번 8월 심포지엄은 그 연장선상에서 통일 담론을 세계평화 차원으로 확대하려는 의도가 있었습니다.

20150827 세계 120개국 종주 완료 기념식.png

2015.08.27
세계 120개국 종주 완료 기념식


2015년은 특히 광복 70주년, 분단 70주년을 맞이한 해로, 120개국 종주(순회) 완료가 갖는 역사적 의미가 더욱 부각되었습니다.

iapp.jpg

2017.2.4 
세계평화국회의원연합(IAPP) 세계총회


 

IAPP 창립(2016.2.15, 서울) → 각국 및 대륙별 지부 창립이 이어짐 (아시아, 아프리카, 미주, 유럽 등) 1년 만에 전 세계 국회의원과 전·현직 정상들이 참여하는 세계 총회 개최 필요성이 제기. 북한 5차 핵실험(2016.9) 이후 한반도 긴장이 극도로 고조된 시기였기에, 국회의원 지도자들이 모여 통일과 세계 평화를 위한 정책적 연대를 다짐하는 것이 절실했습니다.

2015.03.02.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평화실현 국제 심포지엄.jpg

2017.6.29.
한반도 통일과 세계평화 증진을 위한
한미일 국제대학생 심포지엄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2017.1) 이후, 한·미·일 안보 협력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습니다.천주평화연합(UPF)과 평화대사들은 미래 세대인 대학생·청년 리더십이 평화와 통일의 주역임을 강조하며, 국제 차원의 교류 프로그램을 기획했습니다.

세계평화 종교인 연합 창립.jpg

2017.11.13.
세계평화종교인연합(IAPD) 창설대회
전 세계 70여 개국 20여개 종단 및 종교지도자 500여명이 참여

 

세계 평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종교 간 협력이 제도적으로 확립되어야 한다는 요청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IAPD(세계평화종교인연합) 이 창설되어, 종교·신앙 지도자들의 국제적 연합체가 공식적으로 출범하게 되었습니다.

20171211 한반도통일과 동북아 평화실현 국제 심포지엄.jpg

2017.12.11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평화실현 국제 심포지엄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 북한 간의 강대강 대치로 전쟁 위기론까지 거론되던 상황에서, 한국 내에서는 민간·시민사회 차원의 평화담론을 국제적으로 확산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UPF는 국내외 전문가, 종교·정치 지도자, 평화대사들을 모아 동북아 안보와 한반도 평화통일 비전을 논의하는 심포지엄을 개최했습니다.

20190207-0210 월드서밋 2018.jpg

2019.2.7.-2.10.
World Summit 2019
(서울 롯데호텔월드 / 110개국 1천200여 명 참석)


2018년 UPF가 UN ECOSOC 포괄적 협의지위(General Consultative Status) 로 승격된 이후, 처음으로 치러지는 글로벌 정상회의로서 의미가 큼.

2019서밋 창립식1_edited_edited_edited.jpg

2019.2.8.

세계평화정상인연합(ISCP) 창립
전 세계 전 현직 국가정상들이 모여 글로벌 어젠다 논의하는 국제기구

 UPF는 실질적인 글로벌 리더십을 위해서는 전·현직 국가원수 및 정상급 지도자들의 연합체가 필요했습니다. 이에 World Summit 2019의 핵심 프로그램으로 ISCP 창립이 선포된 것입니다.

20191118 아프리카 서밋 2019.jpg

2019.11.18.
아프리카 대륙 서밋 2019(니제르 니아메)


 

2018년 1월 세네갈 다카르 CICAD에서 열린 아프리카 서밋 2018을 통해 UPF는 아프리카 무대에 본격 진출. 이후 아프리카 각국에 IAPP(국회의원연합), IAPD(종교인연합), 청년·여성 평화연합이 확산되었고, 이를 대륙 차원에서 제도화할 필요성이 제기. 니제르는 서아프리카 안보·개발 문제의 핵심 지역으로, 사헬지대 테러·난민·빈곤 등 심각한 도전에 직면 → UPF 비전이 절실히 필요한 무대였습니다.

20191119아시아 태평양 서밋 2019.jpg

2019.11.19
아시아 태평양 서밋 2019(캄보디아 프놈펜)


 

2018년 네팔 카트만두에서 열린 제1회 아시아 태평양 서밋의 성공을 바탕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제2회 서밋이 기획되었고 아시아는 한반도 문제, 남중국해 갈등, 미·중 패권 경쟁 등 세계 평화와 직결되는 핵심 지역이며, 캄보디아 훈센(Hun Sen) 총리가 직접 공동 주최자로 참여하여, 국가 차원의 공식 서밋으로 격상.

2021 신한국포럼 1차_edited.jpg

2021 신한국포럼(1~8차)
명사 특강과 토론을 통해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모색하는 소통과 화합의 장


 

한반도는 여전히 북핵·군사적 긴장 속에 있었고, 통일담론이 사회적으로 약화되는 상황 이에 UPF와 평화대사들은 “국내 각계 명사들과의 대화의 장”을 마련하여,국민적 공감대 속에서 통일·평화의제를 계속 살아 움직이게 하고자 했습니다.

2021THINK TANK 2022 포럼(1~4회).jpg

2021 THINK TANK 2022 포럼(1~4회)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글로벌 연대체

 

2020년 World Summit을 통해 UPF는 IAPP(의회), IAPD(종교), ISCP(정상), IMAP(언론), IAAP(학술), IAED(경제) 등 분야별 국제 네트워크를 완성. 이를 종합적으로 연결하는 Think Tank 2022가 발족되었으며,특히 한반도 평화통일을 2022년까지 실질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전략 플랫폼으로 출범.

20210915 ILC 2021 in Korea(국제지도자 컨퍼런스).jpg

2021.9.15.
ILC 2021 in Korea(국제지도자 컨퍼런스)

2023  평화아카데미.jpg

전국 평화아카데미 실시
(전국 시/군/구 단위 별 평화대사 육성 교육프로그램
)

UPF와 평화대사 협의회가 전국 시·군·구 단위별로 추진하는 평화대사 육성 교육프로그램입니다. 즉, 단순한 행사 차원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평화운동 인재 양성 시스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023 22차신한국포럼_edited.jpg

2023 신한국포럼(17~22차)
명사 특강과 토론을 통해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모색하는 소통과 화합의 장


 

신한국포럼은 이미 전국적으로 자리 잡은 평화대사 활동과 연계되면서, 2023년에도 꾸준히 개최(17~22차)되었습니다. 특히 국제무대(정상회의, ILC, Think Tank 포럼)와 국내 담론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했습니다.

20230502 피스서밋2023.jpg

2023.5.2- 5.5
Peace Summit 2023(피스서밋)

70여 개국 지도자 1000여명 참석


 

2022년 2월 World Summit 2022 (서울선언) 이후, Think Tank 2022와 함께 한반도 평화 담론을 국제화하는 흐름이 이어졌습니다. 2023년은 국제적으로 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패권경쟁, 북핵 위기 심화 등 세계질서가 급변하는 시기이며 이에 UPF는 국제 지도자들을 다시 한국에 초청하여, 한반도 평화와 글로벌 협력 모델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장을 마련했습니다.

한반도 통일과 세계평화 증진 국제 심포지엄 2015.08.27 (2).jpg

2023.9.12
천주평화연합 창립 18주년 기념식

2023년은 창립 18주년으로, "성년(成年)"을 상징하는 시점이자, 지난 18년간의 성과를 돌아보고 새로운 20년을 향한 비전을 선포하는 의미 있는 해였습니다. 직전 해(2022년)에는 World Summit 2022 – 서울선언이 채택되었고, 2023년에는 Peace Summit 2023까지 이어지면서, 이번 기념식은 그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전략을 밝히는 장이 되었습니다.

1980

199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image.png

1981.12.18_국제평화재단 창설

UPF(천주평화연합) 등 세계적 평화기구 창설의 토대가 되었으며, 참부모님의 “평화 비전”을 구체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image.png

1987.5.31-6.4_제1차 세계평화정상회의

냉전 구도가 첨예하던 1980년대 후반, 초종교·초국가적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인류 공동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지속 가능한 평화의 비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image.png

2000.8.18
세계평화초종교초국가연합(IIFWP) 총회

 

IIFWP는  “평화적 아벨 유엔(Abel UN)” 비전을 기반으로 활동을 전개해왔습니다. 창설 1년 반 만에 열린 총회는, IIFWP를 단순 창립 기구에서 국제적 제도적 기구로 정착시키는 전환점이 됨

image.png

2000.10.9
마카림 위비소노 UN 경제사회이사회 의장 초청 집회


 

시기적으로는 IIFWP(세계평화초종교초국가연합) 총 (2000.8.18) 직후,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던 시점. UN과의 연계, 특히 “평화적 아벨 유엔(Abel UN)” 비전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기 위한 과정에서, UN 지도자의 참여는 매우 큰 의미를 가졌음

image.png

2002.2.15
세계평화초종교초국가연합 총회

2002년 총회는 이를 더욱 구체화하여, UN 개혁 담론 속에서 IIFWP의 역할을 제도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 행사였습니다.

image.png

2002.12.9

제1회 한일미 평화대사 세미나
 

2000년대 초반부터 각국에 평화대사(Ambassador for Peace) 제도를 확산시켰습니다. 평화대사는 정치·종교·학술·언론·시민사회 지도자 중에서 임명되어, 초종교·초국가적 평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핵심 동력으로 작동됨

image.png

2004.12.13
유엔평화군 성전추모연합회 창설


 

한국전쟁 당시 참전했던 UN군의 희생과 공헌을 기리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세대에 평화의 교훈을 전승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고、이러한 맥락에서 UN군 전몰 장병들의 희생을 기리며, 평화군 창설 비전과 연결하는 새로운 연합회가 창설됨.

200060202 제1회 천주평화연합 세계대회.png

2006.2.2
제1차 세계평화연합(UPF) 세계대회

이 대회는 UPF가 단순히 창설에 그치지 않고, 세계적 의제와 국제 지도자 네트워크를 다루는 정례적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는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image.png

2006.3.16
평화대사 지도자
대회


 

전 세계 각국에서 임명된 평화대사(Ambassadors for Peace) 들이 본격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도자 차원의 결속과 교육이 필요했습니다. 이에 맞춰 열린 것이 평화대사 지도자대회였습니다.

image.png

2006.3.25~4.23
세계평화연합 조국향토환원대회


 

문선명·한학자총재는 이제 세계적 차원의 평화 비전을 조국(한반도) 과 향토(각 지역·민족) 에 뿌리내리게 하는 “현장 환원” 과정을 추진. “조국광복”과 “고향환원”은 섭리적 언어로, 세계 평화의 비전을 생활·가정·지역·민족 현장으로 돌려보내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image.png

2006.12.8
평화와 통일을 위한 평화대사 전국대회


 

2006년 말, 한국 사회는 북한 핵실험(2006.10.9) 이후 긴장 국면에 있었고,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최고조에 달한 시점이었습니다. 이에 UPF는 한국 전역의 평화대사들을 결집하여,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국민적 지지 기반을 강화하고자 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아벨유엔권 출범 선포 한국대회.png

2008.5.28
아벨유엔권 출범 선포 한국대회

2008년은 실질적으로 출범시키는 시기로, 한국에서 열린 이 대회는 아벨 유엔이 단순한 구상이나 선언이 아니라 실질적 권역으로 출범했음을 알린 역사적 자리였습니다.

일본.jpg

2010.8.24~27
한일 평화대사 지방의원 평화세미나


 

2010년은 한·일 국교 정상화 45주년이 되는 해였습니다. 하지만 과거사 문제, 독도 문제, 역사 교과서 문제 등으로 양국 관계가 여전히 긴장된 상황이었습니다.동시에 북한 핵문제와 동북아 안보 불안정이 고조되면서, 한·일 양국의 협력 필요성이 절실해졌습니다. UPF는 이미 2002년부터 한·일·미 평화대사 세미나를 통해 삼국 협력의 틀을 마련해왔으며, 이번에는 지방의회 의원급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평화 네트워크를 강화하고자 했습니다.

강한대한민국 범국민운동본부 출범 2012.png

2012.3.7
강한 대한민국 범국민운동본부 출범

 

2010년 천안함 사건, 2011년 연평도 포격, 2009·2012년 북한의 핵실험 등으로 한국 사회는 안보 불안이 극도로 높아진 상황이었습니다. 동시에 사회 내부적으로도 정치적 갈등과 국민적 분열이 심화되며 국가적 위기감이 고조 천주평화연합(UPF)과 평화대사협의회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비전을 지켜내기 위해 국민적 단합과 안보 의식을 결집할 범국민 운동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세계평화연합창성 7주년 2012.11.24.png

2012.11.24
천주평화연합 창설 7주년 한국대회

2012년은 특히 문선명 총재 성화 직후로, UPF가 새로운 7년의 출발점을 다지는 시점이었습니다. 이에 한국에서 열린 7주년 대회는 “성과 정리 + 미래 비전 선포”라는 이중적 성격을 가진 행사였습니다.

평화대사 미국 UN 특별세미나 2014.11.19~27.jpg

2014.11.19~27
평화대사 미국 UN 특별세미나


 

UPF는 이미 UN ECOSOC 특별협의지위 NGO로 활동 중이었으며,평화대사들이 UN 무대에서 직접 평화비전을 학습·체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습니다. 2014년은 특히 북한 핵문제, 중동 분쟁(시리아 내전, IS 사태) 등으로 UN의 역할과 한계가 집중 조명되던 시기였기에, 평화대사들에게 국제 감각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심어줄 필요가 있었습니다.

커게 한일해저터널 시민토론회 2014 12.9.jpg

2014.12.9.
거제 한일해저터널 시민토론회


 

한일해저터널 구상은 1981년 문선명 총재께서 국제과학통일회의(ICUS)에서 처음 제안하신 동북아 평화·공영 비전 중 핵심 프로젝트였습니다. 이후 UPF 및 국제하이웨이재단 등을 중심으로, 학계·경제계·시민사회에서 논의가 이어졌습니다. 2010년대 들어 한일 관계가 경색된 가운데, 민간 차원의 평화 인프라 구상으로 다시 주목을 받았고, 특히 터널 예정지 중 하나인 거제에서 본격적인 시민 공론화가 시도되었습니다.

IAPP_02.jpg

2016.2.15.

세계평화국회의원연합(IAPP)  창립
평화세계 실현과 인류발전에 기여하고자 창설된 세계적 차원의 국회의원 조직


정치권, 특히 입법부가 중심이 되는 제도적 평화 네트워크가 절실했습니다. 이를 위해 세계평화국회의원연합(IAPP) 를 창립하여, 각국 의회와 법률가들이 평화·통일 정책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게 하려는 구상이 실현된 것입니다.

2016 피스로드 출발식 2016.02_edited.jpg

2016 한반도 평화통일 기원 피스로드

피스로드(Peace Road) 프로젝트는 1981년 문선명 총재께서 제시한 국제하이웨이 구상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한반도를 거쳐 일본·중국·러시아·유라시아를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세계를 하나로 잇는 평화도로”라는 비전으로, 인류를 하나의 가족 공동체로 묶는 상징적 프로젝트입니다. 2013년 이후 본격적으로 전 세계에서 “피스로드” 캠페인으로 실천되었으며, 2016년은 그중에서도 한반도 평화통일 기원을 핵심 테마로 진행되었습니다.

2016_edited.jpg

2016.10.26
산수원애국회 통일실천 국민대회

(경북 문경새재 / 7000여 명 참석)

천주평화연합(UPF)과 평화대사들은 국민 의식 속에 “통일은 멀리 있는 과제가 아니라, 국민이 함께 실천해야 할 당면 과제”라는 메시지를 심어주기 위해 지역별 대규모 행사를 추진.그 일환으로 산수원애국회 통일실천 국민대회”가 개최된 것입니다.

2018 UN 경제사회이사회(ECOSOC) ‘포괄적 협의 지위.jpg

2018 UN 경제사회이사회(ECOSOC)
‘포괄적 협의 지위’ 단체로 승격

2018.1.18.-20. 아프리카 서밋.jpg

2018.1.18.-20

아프리카 서밋(세네갈 다카르 CICAD)

 

2017년 IAPP(세계평화국회의원연합), IAPD(세계평화종교인연합) 창립 이후, UPF는 대륙별 정상회의(서밋)를 본격화.아프리카는 빈곤, 내전, 종교갈등, 테러, 청년실업 등 세계적 난제를 안고 있는 동시에, 21세기 최대 성장 가능성을 가진 대륙. 따라서 한학자 총재는 아프리카에서 평화·번영 모델을 제시하며, 새로운 “아프리카 르네상스” 비전을 천명하셨습니다.

20200204-07월드서밋2020.jpg

2020.2.4~7.
World Summit 2020
(일산 KINTEX / 171개국 7,000여명 참석)


 

2019년 2월 World Summit 2019에서 ISCP(세계평화정상인연합)이 창립된 이후,UPF는 정치, 종교, 정상 네트워크를 아우르는 글로벌 평화 플랫폼으로 급부상하였고 UPF 창립 15주년의 해로 이를 기념하여 대규모 국제 정상회의가 기획되었습니다. 당시 북한과 미국 간 비핵화 협상이 교착 상태에 있었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새로운 동력이 필요했음.

KakaoTalk_20231127_160308029_edited_edited.jpg

2020. 2. 2
세계평화언론인연합(IMAP) 창설
​공생공영공의의 세계평화구축을 위한 세계언론인의 역할 논의


 

언론은 여론 형성과 사회 변화를 이끄는 핵심 동력입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가짜 뉴스, 편향 보도, 갈등 조장적 언론 행태가 국제적으로 문제시되었고, 한학자 총재는 언론이 본래의 사명으로 돌아가 공생(共生)·공영(共榮)·공의(共義)의 세계를 건설해야 한다고 강조

20200204세계평화학술인연합 출법 2.5.png

2020. 2. 4
세계평화학술인연합(IAAP) 창설
​인류행복과 세계평화 위한 다양한 학술적 토론과 연대 모색


 

한학자 총재는 학술·지성인 네트워크가 평화 건설의 중요한 축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셨습니다. 현대 사회의 문제(기후변화, 빈곤, 갈등, 안보, 윤리 등)는 학문적 연구와 지식 기반 정책이 필요하므로, 학자·지식인들의 국제적 협력이 절실했습니다. 이에 따라 IAAP가 창립되어, 전 세계 학자들이 지혜를 모아 평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IAED 2_edited.jpg

2020. 2. 4
세계평화경제인연합(IAED) 창립
공생주의 가치 전파와 경제적 평준화 목적으로 창립된 경제인 글로벌 네트워크

 

한학자 총재는 빈곤, 불평등, 청년 실업, 기후위기 등 세계 문제들은 경제 구조와 직결되어 있으며, 공생·공영·공의(共生·共榮·共義)의 경제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UPF는 경제인·기업인·투자자들을 연결하는 IAED를 창립하여, 경제 발전과 평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국제 연합체를 출범시켰습니다.

2022 16차신한국포럼_edited.jpg

2022 신한국포럼(9~16차)
명사 특강과 토론을 통해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모색하는 소통과 화합의 장


 

2022년은 특히 World Summit 2022(서울선언 채택)의 해로, 국내 차원의 평화·통일 논의도 병행되어야 했으며 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도 국민적 소통을 지속하고, 각계 전문가들의 통찰을 공유하기 위해 9~16차 포럼이 기획되었습니다.

2022 THINK TANK 2022 포럼(5~6회).JPG

2022 THINK TANK 2022 포럼(5~6회)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글로벌 연대체


 

2022년은 곧바로 World Summit 2022(서울선언) 로 이어지는 해로,그 전 단계에서 국내외 전문가들이 다시 모여 평화·통일 비전과 정책 제안을 구체화하는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이에 5~6차 포럼이 열려, 한반도 문제를 중심으로 국제적 평화연대의 틀을 다졌습니다.

20220211 한반도 평화서밋.jpg

2022.2.11~2.13
World Summit 2022
(한반도 평화서밋)


2022년은 한국전쟁 70주년 직후, 그리고 북핵·한미관계·미중갈등 등 동북아 정세의 전환점에 있었습니다. 한학자 총재는 이를 “한반도 평화 통일은 세계 평화의 관건”이라고 천명하시며 세계정상회의를 통해 뜻을 모으고자 하심

2024 피스로드_edited.jpg

2024 피스로드 통일대장정
2016~2024 전 세계 130개국에서 50만명 이상의 시민이 참가

- 매년 DMZ 세계평화공원조성과 제5 UN사무국 한국유치캠페인 실시

2024년은 남북관계 교착과 북핵 위기 심화 속에서도, 국민적 차원의 통일 공감대 확산이 절실한 시기. 이에 2024 피스로드 통일대장정은 한국 사회 각계가 참여하여 “한반도 평화 = 세계 평화의 출발점”임을 대내외에 천명한 행사입니다.

2024 경남산수원 애국회 추계등반대회 1_edited.jpg

2024 산수원애국회 힐링&평화축제
(연 1회)/전국 시/군/구 단위 춘계·추계 등반대회

2024 평화아카데미 대표사진(경남 13차포럼 및 평화아카데미 4기개강식).jpg

2024 평화아카데미
(전국 시/군/구 단위 별 평화대사 육성 교육프로그램)

2024신한국포험 26차_edited.jpg

2024 신한국포럼(23~26차)
명사 특강과 토론을 통해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모색하는 소통과 화합의 장


2024 신한국포럼은 네 번째 시리즈로 명사 특강과 토론을 통해 한반도 평화와 통일 비전을 국민과 공유하는 공론장이었습니다.

20240422 ILC2024.JPG

2024.4.22
ILC 2024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2024 국제지도자회의)


 

2022년 World Summit “서울선언”과 2023년 Peace Summit 이후,국제 지도자들이 다시 모여 한반도 평화와 세계협력의 새로운 비전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 특히 2024년은 한반도 정세가 북핵 문제와 미·중 전략경쟁으로 긴장된 상황 → 국제 지도자들의 연대 메시지가 필요했습니다.

2021
 

IT_tc00750000081.jpg

당신과 함께 한다면
​전쟁과 분쟁은 반드시 끝납니다

  • 카카오톡-채널
  • 네이버-블로그
  • Youtube
  • Instagram
  • Facebook

천주평화연합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319  TEL: 02-3279-4000  FAX: 02-3279-4149 E-mail: upfhq@hanmail.net

​고유번호: 105-82-65639

COPYRIGHTⓒ UPF KOREA ALL RIGHTS RESERVED.

천주평화연합
bottom of page